청소년은 어떤 고민을 하고 있을까?

본 분석에서는 청소년들이 인터넷을 통하여 고민을 상담하는 순위 정보를 월별로 집계한 데이터를 사용했다.

2019년 1월부터 2020년 11월까지 총 23개월의 데이터를 사용했다.

청소년 고민 순위 정보

라이브러리 불러오기 및 시각화 세팅

컬럼명

들어가며

청소년들은 어떤 고민을 하고 있을까?

청소년들이 인터넷에 어떤 고민을 검색하는지 데이터를 통해 살펴보자.

조회수 기반의 워드클라우드

과연 청소년들은 어떤 고민들을 하고 있을까?

친구(30.1%)에 대한 고민이 가장 많으며, 이후 전학(9.17%), 엄마(6.67%), 자퇴(5.41%), 관계(5.26%), 공부(5.1%), 생리(4.93%), 숨쉬기(3.95%), 임신(3.14%) 등의 순으로 고민이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월별 고민 순위 변화

친구에 대한 고민은 언제나 청소년 고민의 상위에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다른 고민은 시간에 따라 변동성이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위 고민 키워드의 변화

친구

친구는 학생들의 매순간 1위 고민임을 확인할 수 있다.

공부, 시험, 학원

학생의 본분은 공부인 만큼 다양한 키워드로 공부에 대한 고민들(약 9.7%)을 살펴볼 수 있다.

자퇴/전학/검정고시

자퇴, 전학, 검정고시은 각각 2번째, 4번째, 19번째로 많은 고민 검색 키워드로 총 조회수의 약 17%를 차지하고 있다.

2019년에 비해 2020년에 자퇴와 전학에 대한 검색 키워드 조회수의 순위가 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코로나 19로 인해 등교가 적어지고, 학업부담이 줄어들며 청소년들의 전학에 대한 고민이 비교적 후순위로 밀려난 것으로 보인다.

관련 기사

엄마 / 아빠 / 부모님

부모님과 관련된 고민은 시기적으로 큰 변화없이 전체 조회수에서 높은 순위, 높은 비율(약 11.8%)을 차지하고 있다.

임신 / 생리 / 초경

2019년에 비해 2020년에 임신에 대한 검색 조회수가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국내에는 보고된 바가 없으나 해외의 경우 코로나로 인해 집에 있는 시간이 증가하며 청소년 임신이 증가했다는 사례가 있다.

관련기사

생리, 초경 키워드에 대한 순위나 전체 비율을 보았을 때, 2019년에 비해 2020년에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성 관련 고민을 검색으로 찾는 비율의 증가는 코로나로 인한 성교육의 부재가 일부 영향이 있지 않았을까 예측해볼 수 있다.

관련기사

주휴수당

코로나 이전에도 주휴수당과 관련된 여러 의견이 있었지만, 코로나 이후 주휴수당에 대한 청소년의 고민도 상승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주휴수당에 대한 검색 결과가 2019년에는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았지만 2020년 4월부터 9월까지는 매우 높은 순위를 차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은 다음과 같은 복합적인 요소에 대한 결과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해당 데이터가 고민 검색과 관련됨을 감안했을 때, 주휴수당과 관련하여 부당한 사례에 대한 검색이 주를 이루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에 안타까운 마음도 든다.

관련기사

특성화고

특성화고는 전체 키워드 중 조회수 16위(2.31%)를 차지하고 있다.

특정학과가 인기가 많아지며 청소년들의 특성화고에 대한 관심은 매우 급증하였다.

관련기사

자해 / 우울증

자해와 우울증을 통합적으로 보았을 때, 순위표에서는 후순위에 있으나 매월 전체 고민의 1%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10월에 우울증이 기존에 비해 1.5~2배 정도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해당 고민 검색이 증가하는 이유는 크게 2가지로 볼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꾸준한 청소년 심리 상담과 10월 부근으로 상담을 증가하는 등 정책적 고려가 필요해보인다.

관련기사

숨쉬기

그 외에도 숨쉬기라는 키워드가 높은 순위에 있다.

코로나가 유행하고 나서는 숨쉬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라 생각할 수 있지만, 코로나 이전에도 많은 청소년들이 숨쉬기와 관련되어 고민 검색을 하였다.

청소년들이 숨쉬기에 대한 고민을 할 정도로 많은 고민과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는 점이 안타깝다.

마치며...

이번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청소년들의 고민을 좀 더 이해해볼 수 있다.